건강백세

욕창 단계별 분류와 치료 가이드

그레이스셈 2025. 4. 11. 15:34
반응형

욕창은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피부와 하부 조직에 혈류 장애가 생기면서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입니다. 국제욕창자문패널(NPIAP)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총 4단계 + 2가지 특수단계로 분류합니다.


🟡 1단계: 비창백성 홍반 (Non-blanchable erythema)

🔬 병리학적 특징:

  • 피부가 아직 열려 있지 않음
  • 피부 표면은 손상되지 않지만, 압박받은 부위에 지속적인 발적이 있으며 압박해도 창백해지지 않음

🔍 임상 증상:

  • 따뜻함, 단단함, 부종
  • 통증을 호소하거나 감각 저하
  • 피부색이 주변과 다름 (흑인 피부에서는 어두운 변색으로 나타남)

🛠 관리 및 치료:

  • 압력 완화 (체위 변경, 에어매트리스 사용)
  • 피부 청결 유지 및 보습
  • 고위험부위 완충재(Cushion, Pad) 활용
  • 조기 발견 시 완전 회복 가능

🟠 2단계: 부분층 손상 (Partial-thickness skin loss)

🔬 병리학적 특징:

  • 표피와 진피의 부분 손상
  • 얕은 궤양 또는 수포(물집) 형태

🔍 임상 증상:

  • 피부가 벗겨지거나 붉은 바닥의 얕은 궤양
  • 삼출물 소량, 통증 있음

🛠 관리 및 치료:

  • 상처 세척 (식염수 또는 pH-balanced solution)
  • 습윤드레싱(Hydrocolloid, Foam dressing 등)
  • 감염 예방
  • 체위 변경 및 압력 제거 철저히

🔴 3단계: 전층 손상 (Full-thickness skin loss)

🔬 병리학적 특징:

  • 피하지방층까지 손상
  • 근육, 건, 뼈는 노출되지 않음

🔍 임상 증상:

  • 깊은 궤양, 괴사조직(Eschar) 또는 가피(Slough) 동반 가능
  • 삼출물 중등도 이상, 감염 위험 증가

🛠 관리 및 치료:

  • 괴사조직 제거 (Mechanical, Enzymatic, Autolytic debridement)
  • 흡수성 드레싱 (Alginate, Foam 등)
  • 항생제 치료(감염 시)
  • 영양 보충(단백질, 아연, 비타민 C)
  • 욕창 전문 간호관리 필요

4단계: 심부 조직 손상 (Full-thickness tissue loss)

🔬 병리학적 특징:

  • 근육, 건, 관절, 심지어 뼈까지 노출될 수 있음
  • 광범위한 괴사, 감염, 봉와직염, 골수염 등 동반 가능

🔍 임상 증상:

  • 검은 괴사조직, 고름, 악취
  • 통증 극심하거나 감각 소실
  • 감염 시 발열, 백혈구 증가 등 전신증상

🛠 관리 및 치료:

  • 외과적 절제술(Debridement, Skin flap, 이식 수술 등)
  • 진공 음압치료(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, NPWT)
  • 광범위한 항생제 투여
  • 장기 입원 및 전문욕창팀 개입 필요
  • 생명 위협 가능성 있음

⚠️ 특수 단계 (Unstageable & Deep Tissue Injury)

판정 불가 욕창 (Unstageable Pressure Injury)

  • 괴사조직(Eschar)이나 가피(Slough)로 인해 깊이 판단 불가능
  • Debridement 후 단계 재평가 필요

심부조직 손상 의심 (Suspected Deep Tissue Injury, SDTI)

  • 피부 표면은 보존되어 있지만, 자주색 또는 어두운 변색과 부종·물집이 동반됨
  • 조직 내부 손상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음
    ➤ 빠른 압력 완화와 모니터링 필요

📌 요약표

단계손상 깊이특징치료 방향
1단계 피부 표면 비창백성 홍반 압박 완화, 보습
2단계 표피+진피 수포, 얕은 궤양 습윤 드레싱, 감염 관리
3단계 피하지방층 깊은 궤양, 괴사 가능 Debridement, 드레싱, 항생제
4단계 근육/뼈까지 조직 괴사, 감염 수술적 치료, NPWT
판정불가 깊이 미확인 괴사 가피 덮임 제거 후 재판정
심부손상 의심 피부 아래 손상 자주색/어두운 변색 조기 발견 및 압력 완화
반응형